분류 전체보기
-
008. On-chain 용어정리2022.02.07
008. On-chain 용어정리
2022. 2. 7. 13:01
반응형
절대적인 지표는 아님! 참고하는 수준 정도
- Aggregated funding rate : 모든 거래소에 대한 통합 펀딩 비율.
- funding rate > 0 : long이 많아서, short 포지션들에게 자금을 지불하게됨. 낙관적으로 시장을 보는 분위기
- funding rate < 0 : short가 많아서, long 포지션들에게 자금을 지불하게됨. 비관적으로 시장을 보는 분위기
- All exchanges inflow addresses count : 모든 거래소 유입 주소 수
- All exchanges inflow mean : 모든 거래소 비트코인 유입 평균량
- All exchanges inflow mean(MA7) : 모든 거래소 유입평균(MA7). 해당 지표가 2.5 이상일 경우 바닥일 확률이 높았음.
- All exchanges netflow (MA30) : 모든 거래소 유입과 유출 차이(MA30). 강세장에서는 마이너스를 유지하고, 약세장에서는 플러스를 유지함. 증가하면 매도 압력을 의미하고, 감소하면 매수 압력을 의미함.
- BTC : All exchanges reserve : 거래소의 비트코인 보유량. 코인이 거래소에 얼마나 희소한지 파악할 수 있음. exchange inflow/outflow 및 netflow가 누적된 결과임. netflow 해석과 비슷(증가하면 매도 압력을 의미하고, 감소하면 매수 압력을 의미함.) 다만 전체 기간의 움직임을 살피기에 더 좋음.
- All miners to all exchanges flows transactions count : 모든 거래소에 대한 모든 채굴자 흐름거래수. 채굴자가 거래소에 코인을 더 자주 보내면, 가격이 약세일 확률이 높아짐.
- BTC : All miner’s outflow : 모든 채굴자의 유출. 코인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높으면 OTC 시장(장외거래)이나 거래소에 코인을 판매함. 해당 지표가 팍 튈때, 가격이 약세일 확률이 높아짐.
- BTC : Stablecoin ratio in USD (MACD) : 비트코인/스테이블코인 시가 총액을 비교하는 지표
- Coinbase premium index : coinbase의 BTC 값과, binance의 BTC 값의 가격 차이를 의미함. 코베 프리미엄이 높을수록, 코베쪽 고래 및 투자자들이 더 높은 프리미엄에 계속 구매를 하고있다는 의미임.
- Estimated Leverage ratio for all exchanges : 거래소들의 OI를 BTC 보유액으로 나눠서, 평균 레버리지를 추정함. 레버리지 값이 높을 때마다 큰 변동성이 있음. OI와 유사하나 좀 더 정확하다고 함.
- Exchange flow (outflow) : 거래소 유출량
- Exchange whale ratio : 거래소에 입금되는 상위 10건의 입금량을 전체 입금량으로 나눈 것
- Fund flow ratio & Tokens transferred
- Fund flow ratio : 거래소에서 입출금에 사용된 비트코인 양 ÷ Token transferred, 해당 지표가 높으면 거래소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는 의미이고, 해당 지표가 낮으면 거래소가 덜 이용되고 있다는 의미
- Token transferred : 네트워크에서 이동한 비트코인의 총량
- Token transferred가 높고 Fund flow ratio가 낮으면, OTC(장외거래)가 이뤄졌다는 뜻
- Futures Open Interest for all exchanges : 모든 거래소의 선물 미결제약정이 상승하면 큰 움직임이 일어날 확률이 높음.
- Open interest for all exchanges : 선물 미결제약정
- open interest : 파생상품 거래소의 롱/숏 포지션들 중, 미결제 포지션 양을 의미함. OI가 증가하면 변동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이고, OI가 감소하면 포지션들이 마감되고 있다는 의미임.
- Stablecoin supply ratio(SSR) : 스테이블코인 공급비율
- Unexecuted volume index : 거래소 매도 대기물량 인덱스 (30일동안 거래소에 입금된 물량 - 거래 체결 물량)
- 지갑에서 거래소로 inflow 많아지는 경우
- 코인 매도 -> 가격 bearish 확률 높아짐
- 파생상품 (long/short position) 거래 증가 -> 가격 변동성 높아짐
- 거래소 서비스 이용(staking, airdrrop...) -> 가격 변동성을 추측할 근거는 되지 않으므로, funding rate, open interest(미결제약정) 등을 함께 보아야함.
- 관련 지표 : All exchanges inflow mean, Exchange whale ratio(거래소 고래비율)
- 거래소에서 지갑으로 outflow 많아지는 경우
- 코인 장기 보유 -> 가격 bullish 확률 높아짐
- 파생상품 거래 감소
- 내부 지갑 변동일 수도..
- stable coin 보유량이 많아졌다.
- 코인을 매수하려고 입금했을 수도 있고, (긍정)
- 코인을 익절 매도해서 나온 량 일 수도 있음. (부정)
- 채굴자의 움직임을 알고 싶을 때, 참고할 수 있는 지표
- MPI (Miner's Position Index)
- BTC : All miners outflow
- BTC : All exchanges reserve
- 비트코인 고점 판단에 참고할 수 있는 지표
- MVRV Z-score
- Reserve risk
- RHODL ratio
- Relative unrealized profit/loss
- Pi cycle
반응형
'Blockchain · Coin > 공부한거 정리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10. UTXO chain vs Account-based chain (0) | 2022.02.13 |
---|---|
009. 비트코인 On-chain 용어 정리 (0) | 2022.02.10 |
007. Web 3.0 (0) | 2022.02.07 |
006. Custody, STO (0) | 2022.02.07 |
005. Wallet (0) | 2022.02.07 |